본문 바로가기
정책

2024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| 바우처 및 본인 부담금 안내

2024. 10. 22.

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은 국민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보건복지부가 마련한 프로그램입니다. 최대 8회의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의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며, 이를 통해 불안, 우울증 등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소득 수준에 따라 본인 부담금이 차등 부과됩니다.

1. 바우처 지원 및 상담 서비스

바우처는 상담 서비스 비용을 지원하는 전자 이용권입니다. 신청자는 지역의 정신건강복지센터나 병원에서 바우처를 사용할 수 있으며, 각 회당 상담 시간은 50분 이상입니다.

바우처 사용 가능 기관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정신건강복지센터
  • 대학교 상담센터
  • 지정된 정신의료기관
  •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제공처

2. 본인 부담금 소득 기준표

상담 비용의 일부는 소득 수준에 따라 본인 부담금으로 책정됩니다. 다음은 소득 구간에 따른 부담금 비율입니다:

소득 구간 본인 부담금 비율 예시 (8회 상담 총액 40만 원 기준)
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0% 0원
중위소득 70% 이하 0% 0원
중위소득 70~120% 10% 40,000원
중위소득 120~180% 20% 80,000원
중위소득 180% 이상 30% 120,000원

3. 신청 방법

3.1 온라인 신청

신청은 복지로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. 신청자는 회원 가입과 본인 인증을 완료한 후 상담 의뢰서와 증빙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. 

3.2 오프라인 신청

18세 미만 신청자는 법정 대리인의 동의가 필요하며, 이 경우 가까운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4. 기대 효과 및 성과

이 프로그램은 2024년 7월 이후 2만 명 이상이 신청하였으며, 상담 만족도가 높게 평가되고 있습니다. 조기 개입을 통해 정신적 문제를 예방하고, 자살 및 자해 위험을 줄이는 데 큰 효과를 발휘하고 있습니다.

5. 자주 묻는 질문 (FAQ)

질문 답변
소득 기준은 어떻게 확인하나요? 복지로 웹사이트에서 본인 소득 구간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.
바우처는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요? 정신건강복지센터 및 지정 병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
신청 후 상담 일정은 어떻게 잡나요? 신청 승인 후 보건소에서 상담 일정 조율을 도와줍니다.

6. 결론

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은 국민의 정신건강을 지원하는 중요한 복지 프로그램입니다. 본인 부담금은 소득에 따라 합리적으로 책정되며, 신청자는 복지로 웹사이트를 통해 쉽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이 프로그램은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복지 증진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.